2025년 서울시 지원금 총정리
서울시는 2025년에도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폭넓은 지원을 제공합니다. 아래는 청년, 주거, 교육, 소상공인, 건강, 환경 등 각 분야별 지원 프로그램의 정리입니다.
---
1. 청년 지원
✅ 서울청년문화패스
지원 내용: 만 20~23세 청년에게 문화 관람비 20만 원 지급
신청 기간: 2025년 2월 24일~3월 18일
신청 방법: 청년몽땅정보통
✅ 청년 월세 지원
지원 내용: 만 19~39세 1인 가구 대상 월 최대 20만 원(최대 12개월) 지원
신청 방법: 서울주거포털
✅ 청년수당
지원 내용: 미취업 청년에게 월 50만 원(최대 6개월) 지원
신청 방법: 청년몽땅정보통
✅ 청년 마음건강 지원
지원 내용: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제공
신청 방법: 청년몽땅정보통
✅ 도봉구 청년 사회첫출발 지원금
지원 내용: 2006년생 도봉구 청년에게 자기계발비 20만 원 지급
신청 방법: 이메일 접수 (youthdb@dobong.go.kr)
✅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
지원 내용: 만 19~24세 청년의 대중교통비 일부 지원
신청 방법: 청년몽땅정보통
---
2. 주거 지원
✅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
지원 내용: 전세 이자 및 월세 지원
신청 방법: 서울시 복지포털
---
3. 교육 지원
✅ 신입생 입학준비금
지원 내용: 초등학생 20만 원, 중·고등학생 30만 원 지급
신청 방법: 각 학교를 통해 신청
✅ 평생학습협력망 특성화프로그램 운영지원
지원 내용: 평생학습 기관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 지원
신청 방법: 서울특별시교육청
---
4. 소상공인 지원
✅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
지원 내용:
신용평점 600점 이상 소상공인에게 최대 1,000만 원 ‘안심통장’ 지원
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확대, 수수료 절감 혜택 제공
신청 방법: 서울신용보증재단
✅ 배달·택배비 지원
지원 내용: 연 매출 1억 4천만 원 미만 소상공인 대상 배달·택배비 최대 30만 원 지원
신청 방법: 중소벤처기업부
---
5. 건강 지원
✅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
지원 내용: 취약 노동자 입원 시 1일 94,230원(최대 14일) 지급
신청 방법: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
✅ 고립·은둔청년 지원사업
지원 내용: 종합사회복지관 12곳과 협력하여 은둔 청년 지원
신청 방법: 서울청년기지개센터
---
6. 가사서비스 지원
✅ 서울형 가사서비스 바우처
지원 내용: 중위소득 180% 이하 가정에 연 70만 원 상당의 가사서비스 제공
신청 방법: 서울맘케어
---
7. 긴급복지 지원
✅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
지원 내용: 갑작스러운 위기 가구에 최대 100만 원 생계비 지원
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
---
8. 환경 지원
✅ 전기차 보조금
지원 내용:
전기 승용차 최대 630만 원
전기 화물차 최대 1,350만 원 지원
신청 방법: 환경부 무공해차 보조금 지원
---
💡 정리하면?
✔️ 청년: 문화·주거·교통비·심리상담·창업 지원
✔️ 주거: 출산 가구 주거비 지원
✔️ 교육: 입학준비금, 평생학습 지원
✔️ 소상공인: 자금 지원, 배달·택배비 지원
✔️ 건강: 입원 생활비, 은둔 청년 지원
✔️ 가사서비스: 맞벌이·임산부 가사서비스 바우처
✔️ 긴급복지: 위기 가구 생계비 지원
✔️ 환경: 전기차 보조금 지급
서울시의 다양한 지원금을 활용해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'유용한 시사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서울어린이대공원 텃밭 분양! 우리 아이 첫 농사 체험의 기회 🎉 (6) | 2025.03.18 |
---|---|
"노인요양보호사 완벽 가이드 – 자격증 취득부터 취업까지" (7) | 2025.03.13 |
강북의 판도가 바뀐다! 월계 미미삼 재건축으로 로또급 대박 예고 (14) | 2025.03.01 |